프리드리히 콘칠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드리히 콘칠리아는 오스트리아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이다. 선수 시절에는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SV 바텐스, FC 바커 인스브루크, R.S.C. 안더레흐트, FK 오스트리아 빈 등에서 활약했으며, 오스트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85경기에 출전하여 1978년과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지도자 경력으로는 오스트리아 U-21 대표팀 골키퍼 코치, FK 오스트리아 빈 스포츠 디렉터, 감바 오사카 감독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기에에 거주한 오스트리아인 - 쿠르트 벨츨
- 벨기에에 거주한 오스트리아인 - 하인츠 린트너
하인츠 린트너는 오스트리아의 축구 선수로 골키퍼로 활약했으며,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과 스위스 슈퍼 리그 최다 무실점 기록을 세웠고, 오스트리아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16에 참가했다. - 클라겐푸르트 출신 - 대니 누치
대니 누치는 오스트리아 태생으로 미국에서 배우로 활동하며 1990년대 블록버스터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여 이름을 알렸으나, 2024년 팔레스타인 지지 발언으로 논란이 되었다. - 클라겐푸르트 출신 - 요제프 슈테판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수학자, 시인이었던 요제프 슈테판은 빈 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가르치며 흑체 복사 법칙을 발견하고 기체의 열전도율을 최초로 측정하는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여 그의 업적을 기리는 연구소와 분화구가 명명되었다. - 감바 오사카의 축구 감독 - 지크프리트 헬트
지크프리트 헬트는 독일의 은퇴한 축구 선수 및 감독으로, 선수 시절에는 분데스리가에서 활약하고 서독 국가대표팀으로 FIFA 월드컵 결승전에 출전했으며, 감독으로서는 여러 클럽과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 감바 오사카의 축구 감독 - 미야모토 쓰네야스
미야모토 쓰네야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중앙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감바 오사카, 레드불 잘츠부르크, 빗셀 고베에서 뛰었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으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일본 축구 협회 회장이다.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전체 이름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출생일 | 1948년 2월 25일 |
출생지 |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
키 | 1.81m |
포지션 | 골키퍼 |
선수 경력 | |
유소년 클럽 | 1962–1965: KAC |
클럽 경력 | 1965–1969: 아우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1969–1971: SV 바텐스 (60경기) 1971–1979: 바커 인스브루크 (236경기) 1979: 안데를레흐트 (8경기) 1980–1985: 아우스트리아 빈 (163경기) |
총 출전 수 | 467경기 |
총 득점 수 | 0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오스트리아 |
국가대표 출전 | 85경기 |
국가대표 득점 | 0골 |
국가대표 기간 | 1970–1985 |
감독 경력 | |
감독팀 | 감바 오사카 |
감독 기간 | 1998 |
2. 클럽 경력
클라겐푸르트에서 태어난 콘칠리아는 17세에 지역 클럽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데뷔하여 1969년 SV 바텐스로 이적했다. 그곳에서 두 시즌을 보낸 후 FC 바커 인스브루크에서 8년 동안 활약하며 가장 길고 성공적인 기간을 보냈다. 팀 동료로는 그의 동생인 페터(미드필더)가 있었다. 벨기에의 R.S.C. 안더레흐트로 해외 이적했지만, 단 8경기만 뛰고 오스트리아로 돌아와 오스트리아 빈에서 선수 경력을 마쳤다. 허리 부상으로 인해 37세에 은퇴했다.
선수 시절 골키퍼로 FC 바커 인스브루크, RSC 안데를레흐트, FK 오스트리아 빈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주로 FC 바커 인스브루크 선수로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 8회, 오스트리아 컵 우승 6회를 경험했다.[1]
2. 1.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1965-1969)
클라겐푸르트에서 태어난 콘칠리아는 17세에 지역 클럽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에서 데뷔하였다.[1] 1969년에 SV 바텐스로 이적했다.[1]기간 | 소속팀 |
---|---|
1965-1969 |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
2. 2. WSG 바텐스 (1969-1971)
클라겐푸르트에서 태어난 콘칠리아는 1969년 SV 바텐스로 이적하여 두 시즌을 보냈다.2. 3. FC 바커 인스브루크 (1971-1979)
클라겐푸르트에서 태어난 콘칠리아는 SV 바텐스에서 두 시즌을 보낸 후 FC 바커 인스브루크에서 8년 동안 선수 생활을 하며 가장 길고 성공적인 기간을 보냈다. 팀 동료로는 그의 동생인 페터 (미드필더)가 있었다.[1] 그는 FC 바커 인스브루크에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 8회, 오스트리아 컵 우승 6회를 경험했다.[1]2. 4. RSC 안데를레흐트 (1979)
벨기에의 RSC 안데를레흐트로 해외 이적했지만, 단 8경기만 뛰고 오스트리아로 돌아왔다.2. 5. FK 오스트리아 빈 (1980-1985)
콘칠리아는 벨기에의 R.S.C. 안더레흐트로 이적했지만, 단 8경기만 뛰고 오스트리아로 돌아와 오스트리아 빈에서 선수 경력을 마쳤다. 그는 허리 부상으로 인해 37세에 은퇴했다.3. 국가대표 경력
그는 1970년 오스트리아 대표팀에 데뷔했다. 1978년 FIFA 월드컵과 1982년 FIFA 월드컵에 대표 선수로 선발되었다.[1] 1970년 9월 헝가리와의 친선 경기에서 오스트리아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고, 1978년 FIFA 월드컵과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1] 총 84경기에 출전하여 브루노 페치와 함께 오스트리아 역대 출장 횟수 5위에 올랐다.[2]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는 1985년 5월 키프로스와의 월드컵 예선 경기였다.[1]
연도 | 경기 | 골 |
---|---|---|
1970 | 3 | 0 |
1971 | 0 | 0 |
1972 | 1 | 0 |
1973 | 5 | 0 |
1974 | 1 | 0 |
1975 | 7 | 0 |
1976 | 8 | 0 |
1977 | 8 | 0 |
1978 | 11 | 0 |
1979 | 8 | 0 |
1980 | 4 | 0 |
1981 | 3 | 0 |
1982 | 9 | 0 |
1983 | 6 | 0 |
1984 | 7 | 0 |
1985 | 4 | 0 |
통산 | 85 | 0 |
4. 지도자 경력
은퇴 후에는 지도자가 되어 오스트리아 U-21 대표팀 골키퍼 코치, FK 오스트리아 빈의 스포츠 디렉터, 감바 오사카의 수석 코치, 감독 등을 역임했다.[1] 2002년부터 2007년까지는 오스트리아 4부에 소속된 바트 이슐의 감독을 맡았다.[1]
팀 | 시작 | 종료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감바 오사카 | 1998 | 1998 | 12 | 4 | 0 | 8 | |
합계 | 12 | 4 | 0 | 8 |
5. 수상 내역
구단 |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FC 바커 인스브루크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회 | 1971-72, 1972-73, 1974-75, 1976-77 |
오스트리아 컵 | 3회 | 1972-73, 1974-75, 1977-78 | |
미트로파 컵 | 2회 | 1975, 1976 | |
FK 오스트리아 빈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회 | 1979-80, 1980-81, 1983-84, 1984-85 |
오스트리아 컵 | 3회 | 1979-80, 1981-82, 1985-86 |
5. 1. 선수
프리드리히 콘칠리아는 선수 시절 골키퍼로 FC 바커 인스브루크, RSC 안데를레흐트, FK 오스트리아 빈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주로 FC 바커 인스브루크 선수로서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우승 4회, 오스트리아 컵 우승 3회를 경험했다.[1]오스트리아 대표팀에서는 85경기에 출전했으며,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 주전 선수로 활약하며 팀의 좋은 성적에 기여했다.[1]
구단 |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FC 바커 인스브루크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회 | 1971-72, 1972-73, 1974-75, 1976-77 |
오스트리아 컵 | 3회 | 1972-73, 1974-75, 1977-78 | |
미트로파 컵 | 2회 | 1975, 1976 | |
FK 오스트리아 빈 |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 4회 | 1979-80, 1980-81, 1983-84, 1984-85 |
오스트리아 컵 | 3회 | 1979-80, 1981-82, 1985-86 |
6. 통계
colspan=3| | ||
---|---|---|
연도 | 출전 | 골 |
1970 | 3 | 0 |
1971 | 0 | 0 |
1972 | 1 | 0 |
1973 | 5 | 0 |
1974 | 1 | 0 |
1975 | 7 | 0 |
1976 | 8 | 0 |
1977 | 8 | 0 |
1978 | 11 | 0 |
1979 | 8 | 0 |
1980 | 4 | 0 |
1981 | 3 | 0 |
1982 | 9 | 0 |
1983 | 6 | 0 |
1984 | 7 | 0 |
1985 | 4 | 0 |
합계 | 85 | 0 |
팀 | 시작 | 종료 |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감바 오사카 | 1998 | 1998 | 12 | 4 | 0 | 8 | 33.3 |
합계 | 12 | 4 | 0 | 8 | 33.3 |
6. 1. 국가대표팀
그는 1970년 9월 헝가리와의 친선 경기에서 오스트리아 대표팀 데뷔전을 치렀으며, 1978년 FIFA 월드컵과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1] 그는 총 84경기에 출전하여 브루노 페치와 함께 오스트리아 역대 출장 횟수 5위에 올랐다.[2] 그의 마지막 국가대표 경기는 1985년 5월 키프로스와의 월드컵 예선 경기였다. 오스트리아 대표팀에서는 85경기 출전했으며,[4] 1978년 아르헨티나 월드컵,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 주전 선수로서 팀의 좋은 성적에 기여했다.연도 | 출전 | 골 |
---|---|---|
1970 | 3 | 0 |
1971 | 0 | 0 |
1972 | 1 | 0 |
1973 | 5 | 0 |
1974 | 1 | 0 |
1975 | 7 | 0 |
1976 | 8 | 0 |
1977 | 8 | 0 |
1978 | 11 | 0 |
1979 | 8 | 0 |
1980 | 4 | 0 |
1981 | 3 | 0 |
1982 | 9 | 0 |
1983 | 6 | 0 |
1984 | 7 | 0 |
1985 | 4 | 0 |
통산 | 85 | 0 |
6. 2. 감독
ガンバ大阪일본어의 수석 코치를 거쳐 감독을 역임했다. 1998년에 감독직을 수행했다.팀 | 시작 | 종료 | 경기 | 승 | 무 | 패 | 승률 |
---|---|---|---|---|---|---|---|
감바 오사카 | 1998 | 1998 | 12 | 4 | 0 | 8 | 33.3 |
참조
[1]
웹사이트
Record at FIFA Tournaments
https://web.archive.[...]
[2]
웹사이트
Appearances for Austrian National Team
https://www.rsssf.or[...]
[3]
웹사이트
J.League Data Site
https://data.j-leagu[...]
[4]
웹사이트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